Search

초딩도 따라하는 런팟(runpod)으로 스테이블디퓨전(Stable diffusion) WebUI 이용하는 방법 / 2025년 6월 작성

이 포스트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보고 따라하시면 좋습니다.
AI 이미지를 생성하고 싶은데 좋은 컴퓨터(또는 그래픽카드) 살 돈이 없는 사람
컴퓨터는 있는데 그래픽카드가 꾸져서 짤 뽑을때 답답한 사람
NAI(Novel AI)의 단점을 느끼고 Web UI의 미친 확장성을 경험하고 싶은 사람
윈도우가 아닌 다른 운영체제의 컴퓨터를 이용중인 사람 (Mac 등)
주의! Runpod은 컴퓨터 자원을 빌려 쓰는 유료 서비스입니다. 1024*1024사이즈의 이미지를 3~5초만에 생성해내는 컴퓨터를 빌릴 경우 현재 기준 시간당 약 500원의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이 포스트를 잘 따라하시면 사양이 낮은 컴퓨터나 맥북으로도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의 WebUI 로컬 환경을 사용할 수 있어요. 제가 시행착오를 겪으며 얻은 경험으로 여러분들의 시간을 아껴드립니다. 다만 시행착오를 줄여줄 뿐, 처음 WebUI를 실행하는데 까지는 호흡이 다소 길 수 있으니 페이지를 즐겨찾기 하시고 잘 따라오시기 바랍니다.
일단 런팟은 가상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사이트입니다.
최소 결제 금액이 10달러이고 현재 환율로 1만3천원 정도 되겠네요. 헤비 유저가 아니라면 일주일 내내, 또는 한 달 내내 쓸 수 있는 금액입니다. 피시방 보다 저렴하죠? 그럼 이제 어떻게 하는지 알려드릴게요.

1. 런팟, 깃허브, civitai에 가입하세요.

아래 사이트에 모두 가입해주세요. 한글 지원이 안되는 경우도 있는데, 그냥 크롬 번역 키고 하시면 됩니다.
아래 세 개의 사이트는 WebUI를 런팟(runpod) 환경에서 구동하기 위한 필수 사이트이니 사전에 반드시 가입해야합니다.

2. 런팟에서 10달러를 결제하세요.

런팟의 가상 클라우드 환경을 이용하기 위해 금액을 충전해야 합니다. 최소금액은 10달러입니다.
1.
런팟 홈페이지 왼쪽 사이드 바에서 Billing 탭으로 이동합니다.
2.
카드를 등록하세요.
3.
좌측 버튼은 25달러부터 시작하는데, 최소 결제 가능 금액은 10달러이니 텍스트 박스에 ‘10’을 입력한 뒤 [pay with card] 버튼을 눌러 결제하면 끝입니다.

3. civitai에서 API key를 발급받으세요.

1.
우측 상단 프로필을 누르면 드롭다운 메뉴가 펼쳐집니다. 거기서 톱니바퀴를 눌러 Manage Account 페이지에 진입합니다.
2.
스크롤을 밑으로 주욱 내리면 API keys라는 박스가 나옵니다. 여기서 add API key를 클릭합니다.
3.
이름을 아무거나 대충 입력하고 Save 버튼을 클릭하세요.
4.
API key가 발급되었습니다. 이 키를 메모장이나 어디 안전한 곳에 복붙하여 저장해두세요. 정말 주의! 창을 닫으면 다시는 발급받은 키를 볼 수 없게 됩니다. 미리 복사해두세요.

4. 깃허브에서 gist를 생성하세요.

1.
깃허브 프로필 메뉴에서 your gist를 클릭하여 이동합니다.
2.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gist.zip
3.8KB
3.
우측 상단 + 버튼을 눌러 새로운 gist를 생성합니다.
4.
다운받은 파일의 내용을 gist에 입력합니다. gist를 작성할 때 좌측 상단에 있는 텍스트 박스가 파일명인데, 반드시 “default.sh” 라고 작성해야합니다. 파일의 내용을 코드 박스에 붙여넣기 하고 우측 하단 Create public gist 버튼을 클릭합니다.
주의: Create secret gist를 클릭하여 생성하게 되면 추후 런팟에서 파일을 불러오지 못해 에러가 납니다. 반드시 Create public gist로 변경하여 저장해주세요.
5.
gist가 생성된 모습입니다. Raw 버튼을 누릅니다.
6.
새 탭에서 gist가 열립니다. 이 때 주소창에서 밑출친 raw/ 까지가 링크의 필요한 부분입니다. 따로 저장해둡니다.
예시)
https://gist.githubusercontent.com/dcinsidegit/74464c76923945f8029a1919cbe1cb8f/raw
예시 링크입니다 작동 안하니 쓰지 마세요
이제 거의 다 왔습니다.

4-1. 내가 원하는 모델(Lora, Checkpoint) 추가하기

이 포스트가 지시하는 방법을 따라 WebUI를 구동하면, 제가 “default.sh” 파일에 셋팅해놓은 모델과 확장프로그램만 사용 가능합니다. 아래 링크에 사용자가 원하는 모델과 확장프로그램을 추가하는 방법을 확인하세요.

5. 런팟 구동하기

1.
런팟 대쉬보드에서 Pods로 이동
2.
클릭
3.secure는 비싸니까 community로 ㄱㄱ
4.
지금은 테스트니까 젤 싼거로 ㄱㄱ 실제로 쓸 때 비싼거 쓰세요
5.
팟네임 대충 적고 Change Template 클릭합니다.
6.
제가 여러분들 쓰기 좋으라고 만든 템플릿입니다. dcinside라고 검색하면 나옵니다. 선택해주세요.
7.
템플릿 선택했으면 밑에 Edit 템플릿을 눌러주세요. 밑에 On-demand는 요금제인데 spot으로 하면 절대 안됩니다. 시키는대로 해주세요
8.
스크롤을 내려서 Public Environment Variables를 클릭하여 드롭다운을 펼쳐주세요.
9.
여기서 아까 복사해놓은 gist의 raw주소를 입력하고 Set Overrides를 클릭해주세요.
10.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 Deploy를 눌러주세요. 밑에 요금관련된 내용인데 시간당 얼마 낸다 이런 얘기입니다. 시간당 0.17+0.012 달러를 지불해야된다는 말이네요.
11.
기다리면 됩니다.
12.이 화면이 뜨면 거의 다 된겁니다. connect 버튼이 활성화되면 클릭해주세요. 실행에 필요한 파일을 다운받고 설치하는데 시간이 좀 걸립니다.
13.
connect를 누르면 뜨는 팝업창입니다. service portal 1111로 들어가주세요
14.
기다리면 로그인 화면이 뜹니다. 사진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써두었습니다.
15.
로그인에 성공하면 서비스 포탈에 진입합니다. 7860포트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둘 중 아무거나 클릭해도 됩니다.
16.
쟈란~ (설치가 다 안 된 경우엔 15번 단계에서 갑자기 검은색 설치 로그 주르르륵 뜨는 창이 뜰 수 있어요. 기다리면 됩니다. 약 15분)

6. 런팟 끄는 방법

런팟을 안끄면 계속 돈이 나가겠죠? 저렴하지만 안끄고 잠들면 돈이 증발합니다. 끄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스탑
2.
스탑 팟
3.
스탑 팟 했다고 꺼진게 아닙니다. 스토리지비용 0.012달러가 계속 지불되는거라서 터미네이트까지 해줘야 돈이 안나가는거예요.
4.yes 누르면 끗
이제 4090으로 짤을 뽑아봅시다!!